둘리
맥아더 장군의 의회에서 고별 연설 번역 본문
맥아더 장군의 의회에서 고별 연설
I stand on this rostrum with a sense of deep humility and great pride -- humility in the wake of those great American architects of our history who have stood here before me; pride in the reflection that this forum of legislative debate represents human liberty in the purest form yet devised. Here are centered the hopes and aspirations and faith of the entire human race. I do not stand here as advocate for any partisan cause, for the issues are fundamental and reach quite beyond the realm of partisan consideration. They must be resolved on the highest plane of national interest if our course is to prove sound and our future protected. I trust, therefore, that you will do me the justice of receiving that which I have to say as solely expressing the considered viewpoint of a fellow American.
I address you with neither rancor nor bitterness in the fading twilight of life, with but one purpose in mind: to serve my country. The issues are global and so interlocked that to consider the problems of one sector, oblivious to those of another, is but to court disaster for the whole. While Asia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Gateway to Europe, it is no less true that Europe is the Gateway to Asia, and the broad influence of the one cannot fail to have its impact upon the other. There are those who claim our strength is inadequate to protect on both fronts, that we cannot divide our effort. I can think of no greater expression of defeatism. If a potential enemy can divide his strength on two fronts, it is for us to counter his effort. The Communist threat is a global one. Its successful advance in one sector threatens the destruction of every other sector. You can not appease or otherwise surrender to communism in Asia without simultaneously undermining our efforts to halt its advance in Europe.
Beyond pointing out these general truisms, I shall confine my discussion to the general areas of Asia. Before one may objectively assess the situation now existing there, he must comprehend something of Asia's past and the revolutionary changes which are -- which have marked her course up to the present. Long exploited by the so-called colonial powers, with little opportunity to achieve any degree of social justice, individual dignity, or a higher standard of life such as guided our own noble administration in the Philippines, the peoples of Asia found their opportunity in the war just past to throw off the shackles of colonialism and now see the dawn of new opportunity, a heretofore unfelt dignity, and the self-respect of political freedom.
Mustering half of the earth's population, and 60 percent of its natural resources these peoples are rapidly consolidating a new force, both moral and material, with which to raise the living standard and erect adaptations of the design of modern progress to their own distinct cultural environments. Whether one adheres to the concept of colonization or not, this is the direction of Asian progress and it may not be stopped. It is a corollary to the shift of the world economic frontiers as the whole epicenter of world affairs rotates back toward the area whence it started.
In this situation, it becomes vital that our own country orient its policies in consonance with this basic evolutionary condition rather than pursue a course blind to the reality that the colonial era is now past and the Asian peoples covet the right to shape their own free destiny. What they seek now is friendly guidance, understanding, and support -- not imperious direction -- the dignity of equality and not the shame of subjugation. Their pre-war standard of life, pitifully low, is infinitely lower now in the devastation left in war's wake. World ideologies play little part in Asian thinking and are little understood. What the peoples strive for is the opportunity for a little more food in their stomachs, a little better clothing on their backs, a little firmer roof over their heads, and the realization of the normal nationalist urge for political freedom. These political-social conditions have but an indirect bearing upon our own national security, but do form a backdrop to contemporary planning which must be thoughtfully considered if we are to avoid the pitfalls of unrealism.
Of more direct and immediate bearing upon our national security are the changes wrought in the strategic potential of the Pacific Ocean in the course of the past war. Prior thereto the western strategic frontier of the United States lay on the littoral line of the Americas, with an exposed island salient extending out through Hawaii, Midway, and Guam to the Philippines. That salient proved not an outpost of strength but an avenue of weakness along which the enemy could and did attack.
The Pacific was a potential area of advance for any predatory force intent upon striking at the bordering land areas. All this was changed by our Pacific victory. Our strategic frontier then shifted to embrace the entire Pacific Ocean, which became a vast moat to protect us as long as we held it. Indeed, it acts as a protective shield for all of the Americas and all free lands of the Pacific Ocean area. We control it to the shores of Asia by a chain of islands extending in an arc from the Aleutians to the Mariannas held by us and our free allies. From this island chain we can dominate with sea and air power every Asiatic port from Vladivostok to Singapore -- with sea and air power every port, as I said, from Vladivostok to Singapore -- and prevent any hostile movement into the Pacific.
*Any predatory attack from Asia must be an amphibious effort.* No amphibious force can be successful without control of the sea lanes and the air over those lanes in its avenue of advance. With naval and air supremacy and modest ground elements to defend bases, any major attack from continental Asia toward us or our friends in the Pacific would be doomed to failure.
Under such conditions, the Pacific no longer represents menacing avenues of approach for a prospective invader. It assumes, instead, the friendly aspect of a peaceful lake. Our line of defense is a natural one and can be maintained with a minimum of military effort and expense. It envisions no attack against anyone, nor does it provide the bastions essential for offensive operations, but properly maintained, would be an invincible defense against aggression. The holding of this littoral defense line in the western Pacific is entirely dependent upon holding all segments thereof; for any major breach of that line by an unfriendly power would render vulnerable to determined attack every other major segment.
This is a military estimate as to which I have yet to find a military leader who will take exception. For that reason, I have strongly recommended in the past, as a matter of military urgency, that under no circumstances must Formosa fall under Communist control. Such an eventuality would at once threaten the freedom of the Philippines and the loss of Japan and might well force our western frontier back to the coast of California, Oregon and Washington.
To understand the changes which now appear upon the Chinese mainland, one must understand the changes in Chinese character and culture over the past 50 years. China, up to 50 years ago, was completely non-homogenous, being compartmented into groups divided against each other. The war-making tendency was almost non-existent, as they still followed the tenets of the Confucian ideal of pacifist culture. At the turn of the century, under the regime of Chang Tso Lin, efforts toward greater homogeneity produced the start of a nationalist urge. This was further and more successfully developed under the leadership of Chiang Kai-Shek, but has been brought to its greatest fruition under the present regime to the point that it has now taken on the character of a united nationalism of increasingly dominant, aggressive tendencies.
Through these past 50 years the Chinese people have thus become militarized in their concepts and in their ideals. They now constitute excellent soldiers, with competent staffs and commanders. This has produced a new and dominant power in Asia, which, for its own purposes, is allied with Soviet Russia but which in its own concepts and methods has become aggressively imperialistic, with a lust for expansion and increased power normal to this type of imperialism.
There is little of the ideological concept either one way or another in the Chinese make-up. The standard of living is so low and the capital accumulation has been so thoroughly dissipated by war that the masses are desperate and eager to follow any leadership which seems to promise the alleviation of local stringencies.
I have from the beginning believed that the Chinese Communists' support of the North Koreans was the dominant one. Their interests are, at present, parallel with those of the Soviet. But I believe that the aggressiveness recently display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Indo-China and Tibet and pointing potentially toward the South reflects predominantly the same lust for the expansion of power which has animated every would-be conqueror since the beginning of time.
The Japanese people, since the war, have undergone the greatest reformation recorded in modern history. With a commendable will, eagerness to learn, and marked capacity to understand, they have, from the ashes left in war's wake, erected in Japan an edifice dedicated to the supremacy of individual liberty and personal dignity; and in the ensuing process there has been created a truly representative government committed to the advance of political morality, freedom of economic enterprise, and social justice.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socially Japan is now abreast of many free nations of the earth and will not again fail the universal trust. That it may be counted upon to wield a profoundly beneficial influence over the course of events in Asia is attested by the magnificent manner in which the Japanese people have met the recent challenge of war, unrest, and confusion surrounding them from the outside and checked communism within their own frontiers without the slightest slackening in their forward progress. I sent all four of our occupation divisions to the Korean battlefront without the slightest qualms as to the effect of the resulting power vacuum upon Japan. The results fully justified my faith. I know of no nation more serene, orderly, and industrious, nor in which higher hopes can be entertained for future constructive service in the advance of the human race.
Of our former ward, the Philippines, we can look forward in confidence that the existing unrest will be corrected and a strong and healthy nation will grow in the longer aftermath of war's terrible destructiveness. We must be patient and understanding and never fail them -- as in our hour of need, they did not fail us. A Christian nation, the Philippines stand as a mighty bulwark of Christianity in the Far East, and its capacity for high moral leadership in Asia is unlimited.
On Formosa,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has had the opportunity to refute by action much of the malicious gossip which so undermined the strength of its leadership on the Chinese mainland. The Formosan people are receiving a just and enlightened administration with majority representation on the organs of government, and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socially they appear to be advancing along sound and constructive lines.
With this brief insight into the surrounding areas, I now turn to the Korean conflict. While I was not consulted prior to the President's decision to intervene in sup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decision from a military standpoint, proved a sound one, as we -- as I said, proved a sound one, as we hurled back the invader and decimated his forces. Our victory was complete, and our objectives within reach, when Red China intervened with numerically superior ground forces.
This created a new war and an entirely new situation, a situation not contemplated when our forces were committed against the North Korean invaders; a situation which called for new decisions in the diplomatic sphere to permit the realistic adjustment of military strategy.
Such decisions have not been forthcoming.
While no man in his right mind would advocate sending our ground forces into continental China, and such was never given a thought, the new situation did urgently demand a drastic revision of strategic planning if our political aim was to defeat this new enemy as we had defeated the old.
Apart from the military need, as I saw It, to neutralize the sanctuary protection given the enemy north of the Yalu, I felt that military necessity in the conduct of the war made necessary: first the intensification of our economic blockade against China; two the imposition of a naval blockade against the China coast; three removal of restrictions on air reconnaissance of China's coastal areas and of Manchuria; four removal of restrictions on the forces of the Republic of China on Formosa, with logistical support to contribute to their effective operations against the common enemy.
For entertaining these views, all professionally designed to support our forces committed to Korea and bring hostilities to an end with the least possible delay and at a saving of countless American and allied lives, I have been severely criticized in lay circles, principally abroad, despite my understanding that from a military standpoint the above views have been fully shared in the past by practically every military leader concerned with the Korean campaign, including our own Joint Chiefs of Staff.
I called for reinforcements but was informed that reinforcements were not available. I made clear that if not permitted to destroy the enemy built-up bases north of the Yalu, if not permitted to utilize the friendly Chinese Force of some 600,000 men on Formosa, if not permitted to blockade the China coast to prevent the Chinese Reds from getting succor from without, and if there were to be no hope of major reinforcements, the position of the command from the military standpoint forbade victory.
We could hold in Korea by constant maneuver and in an approximate area where our supply line advantages were in balance with the supply line disadvantages of the enemy, but we could hope at best for only an indecisive campaign with its terrible and constant attrition upon our forces if the enemy utilized its full military potential. I have constantly called for the new political decisions essential to a solution.
Efforts have been made to distort my position. It has been said, in effect, that I was a warmonger. Nothing could be further from the truth. I know war as few other men now living know it, and nothing to me is more revolting. I have long advocated its complete abolition, as its very destructiveness on both friend and foe has rendered it useless as a means of settling international disputes. Indeed, on the second day of September, nineteen hundred and forty-five, just following the surrender of the Japanese nation on the Battleship Missouri, I formally cautioned as follows:
Men since the beginning of time have sought peace. Various methods through the ages have been attempted to devise an international process to prevent or settle disputes between nations. From the very start workable methods were found in so far as individual citizens were concerned, but the mechanics of an instrumentality of larger international scope have never been successful. Military alliances, balances of power, Leagues of Nations, all in turn failed, leaving the only path to be by way of the crucible of war. The utter destructiveness of war now blocks out this alternative. We have had our last chance. If we will not devise some greater and more equitable system, Armageddon will be at our door. The problem basically is theological and involves a spiritual recrudescence and improvement of human character that will synchronize with our almost matchless advances in science, art, literature, and all material and cultural developments of the past 2000 years. It must be of the spirit if we are to save the flesh.
But once war is forced upon us, there is no other alternative than to apply every available means to bring it to a swift end.
War's very object is victory, not prolonged indecision.
In war there is no substitute for victory.
There are some who, for varying reasons, would appease Red China. They are blind to history's clear lesson, for history teaches with unmistakable emphasis that appeasement but begets new and bloodier war. It points to no single instance where this end has justified that means, where appeasement has led to more than a sham peace. Like blackmail, it lays the basis for new and successively greater demands until, as in blackmail, violence becomes the only other alternative.
"Why, " my soldiers asked of me, "surrender military advantages to an enemy in the field?" I could not answer.
Some may say: to avoid spread of the conflict into an all-out war with China; others, to avoid Soviet intervention. Neither explanation seems valid, for China is already engaging with the maximum power it can commit, and the Soviet will not necessarily mesh its actions with our moves. Like a cobra, any new enemy will more likely strike whenever it feels that the relativity in military or other potential is in its favor on a world-wide basis.
The tragedy of Korea is further heightened by the fact that its military action is confined to its territorial limits. It condemns that nation, which it is our purpose to save, to suffer the devastating impact of full naval and air bombardment while the enemy's sanctuaries are fully protected from such attack and devastation.
Of the nations of the world, Korea alone, up to now, is the sole one which has risked its all against communism. The magnificence of the courage and fortitude of the Korean people defies description.
They have chosen to risk death rather than slavery. Their last words to me were: "Don't scuttle the Pacific!"
I have just left your fighting sons in Korea. They have met all tests there, and I can report to you without reservation that they are splendid in every way.
It was my constant effort to preserve them and end this savage conflict honorably and with the least loss of time and a minimum sacrifice of life. Its growing bloodshed has caused me the deepest anguish and anxiety.
Those gallant men will remain often in my thoughts and in my prayers always.
I am closing my 52 years of military service. When I joined the Army, even before the turn of the century, it was the fulfillment of all of my boyish hopes and dreams. The world has turned over many times since I took the oath on the plain at West Point, and the hopes and dreams have long since vanished, but I still remember the refrain of one of the most popular barrack ballads of that day which proclaimed most proudly that "old soldiers never die; they just fade away."
And like the old soldier of that ballad, I now close my military career and just fade away, an old soldier who tried to do his duty as God gave him the light to see that duty.
Good Bye.
맥아더 장군의 의회에서 고별 연설 번역
저는 깊은 겸손과 큰 자부심을 가지고 이 연단에 서 있습니다. 제 앞에 서 있는 위대한 미국 건축가들이 남긴 겸손함; 입법 토론의 장이 지금까지 고안되지 않은 가장 순수한 형태로 인간의 자유를 대변한다는 성찰에 대한 자부심입니다. 여기에는 전 인류의 희망과 열망, 믿음이 중심이 됩니다. 이 문제는 근본적이고 당리당략적 고려의 영역을 훨씬 넘어섰기 때문에 저는 당리당략적 대의명분을 옹호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진로가 건전하고 미래가 지켜지려면 국가적 관심의 최고 수준에서 해결돼야 합니다. 그러므로, 저는 당신이 제가 미국인 동료의 사려 깊은 관점을 표현하는 것으로써 그것을 받는 것을 정당하게 해 주실 것을 믿습니다.
인생의 저물어가는 황혼 속에서 원망도 원통함도 없이 오직 한 가지 목적을 염두에 두고 말씀드립니다. 바로 나라를 위해 봉사하는 것입니다. 이 쟁점들은 전 세계적이며 너무 맞물려 있어서 한 부문의 문제를 고려하는 것은 다른 부문의 문제를 망각한 채 전체의 재앙을 초래하는 것일 뿐입니다. 아시아를 흔히 유럽으로 가는 관문이라고 하지만, 유럽이 아시아의 관문이라는 것도 마찬가지로 사실이며, 한쪽의 광범위한 영향력은 다른 쪽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의 힘을 보호하기에 불충분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우리의 노력을 나눌 수 없습니다. 패배주의를 더 이상 표현할 수 없습니다. 잠재적인 적이 두 전선에서 힘을 나눌 수 있다면, 우리는 그의 노력에 대항해야 합니다. 공산주의의 위협은 세계적인 위협입니다. 한 분야에서 그것의 성공적인 발전은 다른 모든 분야의 파괴를 위협합니다. 유럽 진출을 저지하려는 우리의 노력을 동시에 저해하지 않고서는 아시아의 공산주의를 달래거나 굴복시킬 수 없습니다.
이러한 일반적인 진리를 지적하는 것을 넘어, 저는 아시아의 일반적인 영역에 대해서만 논의하겠습니다. 현재 그곳에 존재하는 상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전에, 그는 아시아의 과거와 현재까지의 과정을 보여주는 혁명적 변화들을 이해해야만 합니다. 소위 식민지 열강들에 의해 오랫동안 착취되었고, 사회적 정의, 개인의 존엄성, 또는 필리핀에서 우리의 고귀한 행정을 지도하는 것과 같은 더 높은 삶의 수준을 성취할 기회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아시아의 사람들은 식민주의의 족쇄를 벗어던질 그들의 기회를 방금 전에 찾았습니다. 새로운 기회의 여명,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존엄성, 정치적 자유의 자존심입니다.
지구 인구의 절반과 천연 자원의 60%를 차지하는 이 사람들은 생활 수준을 높이고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적 환경에 현대 진보의 설계를 적응시키기 위해 도덕적이고 물질적인 새로운 힘을 빠르게 통합하고 있습니다. 식민지화 개념을 고수하든 아니든 이것이 아시아의 발전 방향이며 멈추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세계 정세의 진원지가 처음 시작되었을 때 그 지역을 향해 돌아가면서 세계 경제 개척지들의 이동에 따른 결과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식민지 시대가 지나가고 아시아 민족이 자신의 자유 운명을 형성할 권리를 탐내는 현실에 맹목적인 노선을 추구하기보다는 이러한 기본적인 진화적 조건에 부합되게 정책을 지향하는 것이 절실해집니다. 그들이 지금 추구하는 것은 우호적인 지도, 이해, 지지입니다. 명령적인 방향은 아닙니다. 평등의 존엄성이지 예속의 수치심이 아닙니다. 그들의 전쟁 전의 삶의 수준은, 한심할 정도로 낮았지만, 전쟁의 여파로 남겨진 참화 속에서, 이제 한없이 낮아졌습니다. 세계 이데올로기는 아시아 사고에서 거의 역할을 하지 않으며 거의 이해되지도 않습니다. 국민들이 추구하는 것은 조금 더 많은 음식, 조금 더 좋은 옷, 조금 더 단단한 지붕, 그리고 정치적 자유에 대한 정상적인 민족주의적 욕구의 실현입니다. 이러한 정치-사회적 조건은 우리 자신의 국가 안보와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을 뿐이지만, 비현실성의 함정을 피하기 위해서는 신중히 고려되어야 하는 현대의 계획에 대한 배경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국가 안보와 보다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관련은 과거 전쟁 과정에서 태평양의 전략적 잠재력에 가해진 변화입니다. 그 이전에 미국의 서부 전략적 국경은 하와이, 미드웨이, 괌을 거쳐 필리핀까지 뻗어 있는 노출된 섬 돌출부와 함께 아메리카의 연안선에 있었습니다. 그 돌출부는 힘의 전초기지가 아니라 적이 공격을 할 수 있는 나약함의 길임이 증명되었습니다.
태평양은 육지 경계 지역을 공격하려는 약탈 세력의 잠재적인 전진 지역이었어요. 이 모든 것이 우리의 태평양 승리로 바뀌었습니다.
우리의 전략적 국경은 태평양 전체를 수용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태평양을 유지하는 한 해자는 우리를 보호하기 위한 거대한 해자가 되었습니다. 사실, 그것은 모든 아메리카 대륙과 태평양 지역의 모든 자유 영토에 대한 보호막 역할을 합니다. 우리는 알류샨 제도에서 마리아나 제도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섬들을 통해 아시아 해안까지 지배하고 있습니다. 이 섬 체인으로부터 우리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싱가포르에 이르는 모든 아시아 항구를 바다와 공군력으로 지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싱가포르에 이르는 모든 항구에서 태평양으로의 적대적인 움직임을 막을 수 있습니다.
*아시아로부터의 어떠한 약탈 공격도 수륙양용이어야 합니다.* 어떤 수륙양용 군도 바닷길과 전진로에 있는 바닷길의 공기를 통제하지 않고는 성공할 수 없습니다. 해군과 공군의 우위와 기지 방어를 위한 적당한 지상 요소들로 인해, 대륙 아시아로부터 우리나 태평양의 우방국들을 향한 어떠한 주요 공격도 실패할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평양은 더 이상 미래의 침략자에게 위협적인 접근의 길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대신 평화로운 호수의 친근한 면을 가정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방어선은 자연스러운 것이고 최소한의 군사적 노력과 비용으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누구에 대한 공격도 계획하지 않고, 공격 작전에 필수적인 보루도 제공하지 않지만, 적절하게 유지된다면, 침략에 대한 무적의 방어책이 될 것입니다. 서태평양에서 이 연안 방어선을 유지하는 것은 전적으로 연안 방어선의 모든 부분을 유지하는 것에 달려 있습니다; 비우호적인 힘에 의한 방어선의 중대한 침범으로 인해 다른 모든 주요 부분들은 결연한 공격에 취약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제가 아직 예외적으로 받아들일 군 지도자를 찾지 못한 군부의 추정치입니다. 그런 이유로, 저는 과거에 군사적 긴급사항으로서 어떠한 경우에도 대만이 공산당의 지배하에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력히 권고했습니다. 이러한 만일의 사태는 필리핀의 자유와 일본의 상실을 동시에 위협할 것이며, 서부 국경인 캘리포니아, 오리건, 워싱턴 해안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현재 중국 본토에 나타나고 있는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난 50년 동안의 한자와 문화의 변화를 이해해야 합니다. 50년 전까지만 해도 중국은 완전히 단일하지 않았습니다. 서로 대립하는 집단으로 나뉘어 있었습니다. 전쟁을 일으키는 경향은 그들이 여전히 평화주의라는 유교적 관념의 신조를 따르고 있었기 때문에 거의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세기의 전환기에, 장 초린 정권 하에서, 더 큰 동질성을 향한 노력은 민족주의적 충동의 시작을 낳았습니다. 이것은 장제스의 지도하에 더욱더 성공적으로 개발되었지만, 현 정권 하에서 점점 더 지배적이고 공격적인 성향을 띠는 통일된 민족주의의 성격을 띠게 될 정도로 가장 큰 결실을 맺었습니다.
따라서 지난 50년 동안 중국인들은 그들의 개념과 이상에서 군사력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이제 유능한 참모들과 지휘관들로 훌륭한 군인들을 구성합니다. 이것은 아시아에 새롭고 지배적인 힘을 만들어 냈는데, 그 목적은 소련 러시아와 동맹을 맺고 있지만, 그 자체의 개념과 방법은 공격적인 제국주의로 변질되어, 팽창에 대한 열망과 이러한 제국주의에 정상적인 힘을 증가시켰습니다.
중국인의 구성에는 이런저런 이념적 개념이 거의 없습니다. 생활수준이 너무 낮고 자본축적이 전쟁으로 인해 철저히 방탕되어 대중들은 지역적 끈질김 완화를 약속하는 것 같은 어떤 지도부라도 따르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저는 처음부터 중국 공산당의 북한 지지가 지배적이었다고 믿어왔습니다. 그들의 이익은 현재 소련의 이익과 유사합니다. 그러나 최근 한국뿐만 아니라 인도-중국, 티베트 등지에서 보여준 공격성과 잠재적으로 남한을 향한 욕구는 태초부터 모든 정복 희망자들에게 활기를 불어넣어 온 권력 확장에 대한 동일한 욕망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전쟁 이후 일본 국민은 근대사에 기록된 가장 큰 개혁을 겪었습니다. 훌륭한 의지, 배우려는 열망, 그리고 이해하려는 뚜렷한 능력으로, 그들은 전쟁의 여파로 남겨진 잿더미로부터 일본에 개인의 자유와 개인의 존엄성을 위한 건물을 세웠습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과정에서 정치적 모의 진보를 위해 헌신하는 진정한 대표 정부가 만들어졌습니다. 현실성, 경제 기업의 자유, 사회 정의입니다.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일본은 이제 지구상의 많은 자유국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으며, 또다시 보편적인 신뢰를 저버리지 않을 것입니다.
아시아에서의 사건들의 진행에 심오한 유익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기대될 수 있다는 것은 일본 사람들이 최근 그들을 둘러싼 전쟁, 불안, 혼란의 도전에 외부로부터 맞닥뜨리고 그들의 국경 내에서 조금도 느슨함 없이 공산주의를 견제하는 웅장한 태도로 증명됩니다. 그들의 전진입니다. 저는 그 결과로 생긴 전력공백이 일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금도 거리낌 없이 우리 4개 점령 사단을 모두 한국 전선에 파견했습니다. 그 결과는 제 믿음을 충분히 정당화시켰습니다. 저는 이보다 더 침착하고 질서 정연하며 근면한 나라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인류의 진보에서 미래의 건설적인 봉사를 위해 더 높은 희망을 가질 수 있는 나라는 없습니다.
우리의 이전 병동인 필리핀은 전쟁의 참혹한 파괴의 더 긴 여파 속에서 기존의 불안이 시정되고 강건하고 건강한 국가가 성장할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기대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인내심과 이해심을 가져야 하며 절대 그들을 실패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가 필요로 할 때처럼, 그들은 우리를 실패시키지 않았습니다. 기독교 국가인 필리핀은 극동에서 기독교의 강력한 보루로 우뚝 서 있으며 아시아에서 높은 도덕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역량은 무한합니다.
대만에서, 중화민국 정부는 중국 본토에 대한 리더십의 힘을 약화시킨 악의적인 소문을 행동으로 반박할 기회를 가졌습니다. 대만 국민들은 정부 기관들을 다수 대표하면서 정의롭고 계몽된 행정을 받고 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건전하고 건설적인 노선을 따라 진보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주변 지역에 대한 간략한 통찰력으로 저는 이제 한국 분쟁에 눈을 돌립니다. 저는 대한민국을 지원하기 위해 개입하기로 한 대통령의 결정 이전에 자문을 받지 못했지만, 군사적인 관점에서 그 결정은 건전한 것으로 증명되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침략자를 격퇴하고 병력을 격멸시켰기 때문입니다. 적화국이 수적으로 우세한 지상군에 개입했을 때, 우리의 승리는 완성되었고, 우리의 목표는 손에 잡힐 수 있었습니다.
이것은 새로운 전쟁과 완전히 새로운 상황을 만들어 냈고, 우리 군대가 북한 침략자들에 대항할 때 고려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즉, 외교 영역에서 군사 전략의 현실적인 조정을 허용하는 새로운 결정을 요구하는 상황입니다.
그런 결정은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제정신인 사람은 중국 대륙에 지상군을 파견하는 것을 지지하지 않겠지만, 새로운 상황은 우리가 옛 적을 물리친 것처럼 우리의 정치적 목적이 새로운 적을 물리치는 것이라면 전략 계획의 과감한 수정을 시급히 요구했습니다.
군사적 필요와는 별개로, 압록강 이북의 적을 감안하여 성역 보호를 무력화하기 위해, 저는 전쟁 수행에 있어서 군사적 필요성이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첫째 중국에 대한 우리의 경제 봉쇄 강화, 둘째 중국 연안에 대한 해상 봉쇄 부과, 셋째 제한 철폐. 중국 해안 지역과 만주 지역의 공중 정찰에 관한 것; 타이완에 대한 중화민국의 군대에 대한 4가지 제한 사항 제거, 공동의 적에 대한 효과적인 작전에 기여하기 위한 병참 지원과 함께.
한국에 헌신하는 우리의 군대를 지원하고 적대를 최소의 지연으로 끝내기 위해 그리고 수많은 미국인과 연합군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전문적으로 설계된 이러한 견해를 수용하기 위해, 저는 평신도들, 특히 해외에서 심하게 비판받아 왔습니다, 군사적인 관점에서의 저의 이해에도 불구하고 말입니다.과거 합동참모본부를 포함한 사실상 한국 캠페인과 관련된 모든 군 지도자들에 의해 의견이 공유되었습니다.
지원군을 요청했지만 지원군이 없다고 합니다. 압록강 북쪽의 적군 기지를 파괴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는다면, 대만에 있는 60만 명의 아군 병력을 활용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는다면, 적군이 적군 없이 승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중국 해안을 봉쇄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는다면, 그리고 주요 증원군의 희망이 없다면, 포시, 군사적인 관점에서 지휘권을 행사하는 것은 승리를 금합니다.
우리는 지속적인 기동과 적의 보급선 불이익과 균형을 이루는 대략적인 지역에 주둔할 수 있었지만, 적군이 군사적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한다면 아군에 대한 끔찍하고 지속적인 소모로 우유부단한 작전만을 바랄 수 있었습니다. 저는 끊임없이 해결책에 필수적인 새로운 정치적 결정을 요구해 왔습니다.
제 입장을 왜곡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사실, 저는 전쟁광이었다고 합니다. 이는 사실과 무관해요. 전쟁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고, 저에게 이보다 더 역겨운 것은 없습니다.
저는 오랫동안 이 조약의 완전한 폐지를 주장해 왔습니다. 아군과 적 모두에 대한 매우 파괴적인 조치로 인해 이 조약은 국제 분쟁 해결의 수단으로 무용지물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사실, 1945년 9월 둘째 날, 미주리 전함에서 일본이 항복한 직후, 저는 공식적으로 다음과 같이 경고했습니다.
태초부터 인간은 평화를 추구해 왔습니다 여러 시대에 걸쳐 다양한 방법들이 국가 간의 분쟁을 예방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국제적인 과정을 고안하기 위해 시도되어 왔습니다. 처음부터 실행 가능한 방법들은 시민 개개인에 관한 한 지금까지 발견되었지만, 더 큰 국제적 범위의 기구들의 기계들은 결코 성공적이지 않았습니다. 군사 동맹, 힘의 균형, 국제 연맹은 차례로 실패했고 전쟁의 도가니로 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을 남겨두었습니다. 전쟁의 완전한 파괴력은 이제 이 대안을 가로막고 있습니다. 우리는 마지막 기회를 가졌습니다. 우리가 더 크고 공정한 시스템을 고안하지 못한다면 아마겟돈은 우리 문 앞에 있을 겁니다 문제는 기본적으로 신학적이며, 과학, 예술, 문학, 그리고 지난 2000년 동안의 모든 물질적, 문화적 발전에서 거의 필적할 수 없는 우리의 진보와 동시에 일어날 인간의 영적 부흥과 인격의 향상을 수반합니다. 육신을 살리려면 영혼이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일단 전쟁이 우리에게 강요되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는 것 말고는 다른 대안이 없습니다.
전쟁의 목적은 승리이지 장기간의 우유부단함이 아니다.
전쟁에서는 승리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없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붉은 중국을 달래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역사가 유화적이지만 새롭고 피비린내 나는 전쟁을 낳는다는 것을 분명히 강조하며 가르치기 때문에 그들은 역사의 분명한 교훈에 눈이 멀었습니다. 그것은 이러한 목적이 정당화 된 단 하나의 사례도 가리키지 않습니다. 즉, 유화주의가 거짓된 평화 그 이상을 이끌어 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협박과 마찬가지로, 그것은 협박에서와 같이 폭력이 유일한 대안이 될 때까지 새롭고 연속적으로 더 큰 요구의 기초를 마련합니다.
"왜죠?" 제 병사들이 저에게 물었습니다. "전장의 적에게 군사적 이점을 빼앗기 위해서요?" 대답할 수가 없었어요.
어떤 이는 분쟁이 중국과의 전면전으로 번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말하고, 다른 이는 소련의 개입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두 설명 모두 타당해 보이지 않는데, 중국은 이미 그들이 저지를 수 있는 최대 전력을 가지고 있고, 소련이 반드시 우리의 움직임과 행동을 일치시키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코브라처럼, 어떤 새로운 적이라도 군사나 다른 잠재력의 상대성이 세계적으로 자신에게 유리하다고 느낄 때마다 공격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한국의 비극은 군사행동이 영토 경계에 국한되어 있다는 사실로 더욱 고조되고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구원 목적인 국가가 적의 은신처가 그러한 공격과 참화로부터 완전히 보호되고 있는 동안 해공 폭격의 파괴적인 영향을 받는 것을 비난합니다.
세계 국가들 중 공산주의에 맞서 위험을 무릅쓴 나라는 한국뿐입니다. 한국인의 용기와 용기의 웅장함은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그들은 노예제보다는 죽음을 택했습니다. 그들이 내게 한 마지막 말은 "태평양을 방해하지 마시오!"
당신의 싸우는 아들들을 한국에 남겨두었습니다. 그들은 그곳에서 모든 테스트를 마쳤고, 나는 모든 면에서 훌륭하다는 것을 거리낌 없이 당신에게 보고할 수 있습니다.
그들을 보존하고 명예롭게 그리고 최소한의 시간과 최소한의 희생으로 이 야만적인 갈등을 끝내기 위한 저의 끊임없는 노력이었습니다. 그 유혈사태는 저에게 가장 깊은 고통과 불안을 야기시켰습니다.
그 용맹한 자들은 제 생각과 기도에 자주 남을 것입니다.
저는 52년간의 군 복무를 마칩니다. 제가 군대에 입대했을 때, 세기가 바뀌기도 전에, 그것은 저의 소년 같은 희망과 꿈의 모든 성취였습니다. 웨스트포인트 평원에서 선서를 한 이후 세상은 여러 번 바뀌었고, 희망과 꿈은 사라진 지 오래지만, 가장 자랑스럽게 "노병은 죽지 않는다, 그냥 사라진다"라고 선언했던 그 날 가장 인기 있는 병영 발라드 중 하나의 후렴구가 아직도 기억에 남습니다.
그리고 그 발라드의 늙은 군인처럼, 저는 이제 군 생활을 접고 사라집니다. 하나님으로서의 의무를 수행하려고 했던 늙은 군인이 그에게 그 의무를 볼 수 있는 빛을 주었습니다.
굿바이.
'유명한 연설문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스북 마크주커버그의 하원 청문회 개회사 번역 (0) | 2022.02.24 |
---|---|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 취임사 번역 (0) | 2022.01.19 |
제너럴 포드의 리처드 M. 닉슨 사면 연설 내용 전문 (0) | 2022.01.16 |
조지 마셜의 마샬계획에 관한 연설문 번역 (0) | 2022.01.14 |
엘리너 루스벨트의 인권선언 연설 번역 (0) | 2022.01.14 |